결국 AASM의 조립이 모두 끝났다. AFV 만드시는 분들이 별매 메탈트랙을 조립할 때 아무 생각 없이 도 닦듯 하나하나 이어간다고 하는데, 모르긴 해도 이번에 내가 AASM 6발을 준비하면서 느꼈던 지겨움도 그와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.
![](http://hjmodeling.com/wp-content/uploads/2018/04/131023_rafale_01-300x225.jpg)
보시다시피 AASM은 Olimp Resin Accessaries의 별매 레진부품과 포토에치로 된 전방 핀(Fin), 하세가와(아카데미) A-10의 통상폭탄, 에폭시 퍼티와 마스킹테이프, 라인테이프, 모덱스테이프, 플라스틱 튜브 등등 온갖 잡동사니가 조합된 반(半) 자작품이다. 탄체(彈體)의 아웃라인을 잡아주는 데 많은 시간을 들였고, 구글링을 통해 얻은 사진을 바탕으로 표면의 결속구를 재현하는 데도 신경을 썼다.
빨간색은 0.5mm 라인테이프, 파란색은 모덱스테이프, 노란색은 마스킹테이프다. 라인테이프와 마스킹테이프는 순간접착제를 먹여 표면을 정리해주었다.
포토에치로 된 전방 핀(Fin)은 AASM 1기당 8개가 붙기 때문에 매우 붙이기 번거롭다. (총 48개!) 레진 부품에 새겨진 옅은 ‘흔적’보다 훨씬 깊고 큰 홈을 파서 포토에치 부품이 쉽게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해주었다.
모든 AASM은 파일런에 붙일 일을 생각하여 황동봉 또는 곤충핀을 박아주었다. 폭탄 1기당 2개씩 총 12개의 핀을 박아주는 것이 참 귀찮은 일이었지만, 다 끝내고 난 뒤의 ‘튼튼함’을 생각하면 이 이상으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.
특히, 좌우로 붙는 파일런은 폭탄과의 접착부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단순히 순간접착제에만 의존하면 나중에 낭패를 보기 쉽다. 곤충핀을 박을 때도 수직이 되도록 하지 말고 45도 기울여야 무난히 ‘자리’를 확보할 수 있다.
![](http://hjmodeling.com/wp-content/uploads/2018/04/131023_rafale_02-300x225.jpg)
대충 붙여본 상태. 다행히 연료탱크와의 간섭은 일어나지 않지만, AASM끼리는 한 파일런 안에서 서로 간섭이 있으므로, 후방 핀(Fin)을 갈아주는 등의 방법으로 간섭을 최소화해주었다.
![](http://hjmodeling.com/wp-content/uploads/2018/04/131023_rafale_03-300x225.jpg)
이제 리비아 공습에 참전했던 해군형 라팔의 모습이 조금 나오는 건가? 같은 부품을 수십개씩 자르고 붙이고 해가면서 굳이 AASM을 6발씩 달 필요가 있을까 고민도 많았지만 이런 모습을 보면 그간의 고생이 보상받는 것 같아 기분이 좋다.
아니 이거 올릴 정신이 있다는 겁니까!!! ㅋㅋㅋ
정말 축하해요~~~~
음, 감사합니다. 하지만 앞으로 잘 못하게 될테니까(ㅠㅠ) 이렇게 집에 혼자 있을때 살짝살짝 만들어야 빨리 완성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? 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