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A-6B ICAP II VMAQ-2 Panthers

1:48 / Monogram / 제작기간 : 2004. 2. 16 ~ 7. 30

역시 모노그람 키트로 만든 ‘키트 그대로 만들기’ 컨셉의 프라울러. 수퍼스케일 별매데칼을 이용하여 VMAQ-2 판터스 기체로 만들었다.

키트 그대로 만들었지만 별매품을 안 썼다뿐이지 제작과정에서 앞서 만든 VAQ-140과 크게 다른 점은 없는 것 같다.

패널라인은 큰 것 위주로만 파주고 자잘한 것들은 사포로 다 밀어버렸다.

오히려 조종사 4마리(?) 칠하는 게 훨씬 힘들었다. 앞좌석 2마리는 하세가와 호넷에 든 파일럿 머리를 떼다 붙여서 신형헬멧을 쓰고 있다. 팔을 이리저리 바꿔붙이고 고개도 다 다른 방향을 보도록 틀어서 4마리 다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다.

유일하게 쓴 별매품이라면 파라곤 EA-6용 윙폴드세트다. (EA-6B용이 아니다!) EA-6A나 A-6(콤포지트윙 제외)에 쓸 수 있는 윙폴드이므로 EA-6B에는 쓰면 안 되지만 그냥 썼다. 밴쿠버 가서 최초로 산 별매품이 아니었을까? 일전에 소개해드린 적 있는 Aviation World에서 S-3 윙폴드랑 같이 샀는데 절판된 줄 알았던 두 아이템을 한꺼번에 손에 넣고는 희희낙락했던 기억이 난다. 그게 1년 채 못되는 유학생활이 마도(魔道)로 빠져드는 첫 걸음이었을 줄이야…

접철부의 디테일은 역시 A-6 전기형 주익 또는 EA-6A용 주익에 맞는 것이다. 재밍포드는 Cutting Edge 외장수정세트에 든 놈을 사용. 재밍포드에 붙는 작은 글씨들은 역시 수퍼스케일 별매데칼에 든 것.

바로 이렇게 양 날개 끝단이 서로 닿을락 말락 하는 것이 제대로 된 각도다. 역시 항법등을 색깔 있는 투명런너로 바꿔주었고 저명도 편대등 역시 CAM 별매데칼을 이용했다.

수퍼스케일 VMAQ-2 데칼은 같은 기체를 재현한 에어로마스터의 Navy Prowlers 데칼보다 고증성에서 더 뛰어난 것 같다. 다만… 수퍼스케일 설명서를 보면 러더의 저 표범이 뒷쪽을 향해 포효하도록 그려져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‘관례상’ 앞쪽을 보고 포효하는 게 맞는 거 아닌가? 설명서 무시하고 관례대로 붙여주었는데, 글쎄…

연료탱크 2개, 재밍포드 3개의 전형적인 무장패턴. 재밍포드는 Cutting Edge 부품으로서, 레진덩어리이므로 무게가 상당하다. 크피르 연료탱크 붙여줄 때처럼 보강핀을 박아서 꽂아주었다. 앞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약간 기운 급유프로브도 이 기체에서는 보강핀을 박아주었다.

도색이나 웨더링은 VAQ-140과 동일하게 칠했으므로 앞의 제작기를 참고할 것. 다만, 수퍼스케일 설명서에 따르면 이 VMAQ-2 기체는 군제락카 307 단색이므로 도색은 지형작업 없이 좀더 쉬웠다고 할 수 있다.

이번 프라울러 프로젝트의 결과물들. 떡대 좋은 놈들 두 마리가 떠억~ 서있으려니 기분 뿌듯하고 든든해진다. ^^ 역시 네오콘벤션에서 실물을 보실 수 있을 거다.

One comment

  1. WOW…. 멋지네요 어서 그날(?)이 와서 실물도 보고 싶습니다.
    제작 예정 리스트에 추가….. 그런데 자금의 압박이 만만치 않을듯 합니다.

댓글 남기기